장애인생산품 홍보장터 개최

본문 바로가기
중앙회 공지
중앙회 공지 > 알림 > 중앙회 공지-잘못된 백업공지

장애인생산품 홍보장터 개최

관리자 0 2808

 장애인들이 직접 만든 쿠키입니다. 드셔보고 가세요” 22일 서울 청계광장을 지나는 시민들이 알록달록한 머랭쿠키 앞에서 멈췄다. 파운드케익, 카스테라, 와플 등 다양한 베이커리를 둘러보던 한 시민은 1만원어치를 구매했다. 발달장애인 직원 얼굴에도 웃음꽃이 피었다.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는 총 40개의 시설이 참여한 장애인생산품 홍보장터를 열고, 생산품에 대한 인식개선과 더불어 브랜드를 적극 홍보하고 있다.

 

정부는 지난 2008년부터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을 시행, 각 지자체마다 부서, 기관별 1년 치 물품 구매·용역 생산 중 1% 이상을 직업재활시설 등에서 생산한 중증장애인생산품으로 구입하도록 하고 있다. 지난해 기준 공공기관의 우선구매액은 총 5312억원으로 전체 구매액(468179억원)1.13%를차지해 법정 목표치를 달성했다. 하지만 여전히 지자체(0.83%), 교육청(0.89%)로 목표에 미치지 못한다.

 

쇼핑백과 박스 등을 생산하고 있는 기능장애인협회 광진지부 소속 광진장애인보호작업장은 생산품 80% 이상을 공공기관에 납품하고 있다. 지난해 매출은 28000만원 정도로, 코레일 등 공공기관과 사전 계약 후 생산품을 제작해오고 있다.

 

김미애 팀장은 쇼핑백이 주생산품 치고는 매출이 높은 편이며, 대부분 전화로 문의가 온다코레일 속 명품나루, 해랑 등에서 쇼핑백이 쓰이고 있다고 설명했다. 하지만 일반 시민들에게는 낮은 인지도 덕에 홍보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. 김 팀장은 홍보 판매할 수 있는 판매시설이 있지만 한계가 있다. 전문 인력이 없어서 사회복지사가 직접 우편을 통해 홍보하고 있지만 효과가 높지는 않다면서 공공기관 담당자 또한 실적을 채우기만 급급한 것 같다. 생산품에 대한 인식개선과 더불어 판로개척이 절실해 보인다고 덧붙였다.

 

중증장애인 23명이 100% 천연잿물을 사용해 무공해 발효 항아리를 비롯, 밥그릇, 옹기반찬통 등 옹기 소품류를 제작하는 장수군 장애인보호작업장. 지난 5월 전북 장수군으로부터 생산시설 지정을 받은 이후, 처음으로 일반시민들에게 선보였다. 김균수 원장은 사업을 위해 직접 기업체들을 방문해 옹기 제작 노하우부터 차근차근 밟았다.

 

김 원장은 보호작업장을 시작한지는 4년이고, 1년정도 준비해왔다. 매출은 1억원을 넘길 때도 있지만 최근 경기가 좋지 못 하다지난달 생산시설로 인증 받았기 때문에 이제부터 홍보에 매진할 예정이다. 장수군과 협력해서 공공기관 리스트를 받아 우편을 발송하고 있다고 말했다.

 

현재 직업재활시설은 최저임금 적용 제외 대상이다. 김 원장은 정부에서 인건비를 지원해 중증장애인 근로자들의 자립지원이 가능했으면 좋겠다고 했다. 김 원장은 직원들이 대부분 중증장애인이다. 자활센터의 경우에는 임금을 지원하고 있지만, 직업재활 쪽은 운영비가 많지 않고 인건비 지원이 없다. 인건비를 어느 정도 지원해주면 자립지원이 가능할 정도가 될 텐데 아쉽다고 토로했다.

 

불어로 밀알을 뜻하는 래그랜느 보호작업장은 자폐성 장애인 10명이 제과제빵 기술자의 감독 하에 100% 핸드메이드 수제쿠키를 생산하고 있다. 10종류의 쿠키와 빵류, 그리고 쿠키 선물세트가 주 생산품이다. 지난해 사회적기업에서 직업재활시설로 전환 이후, 근처 학교 까페 등에 납품하고 있다. 홈페이지(www.lesgraines.org)로도 주문이 가능하다.

 

이날 홍보장터에는 김전승 주임과 장애인근로자인 오정선(25, 지적3)씨가 부스를 지켰다. 오 씨는 오늘 만원 팔았다. 빵 만드는 게 즐겁다고 했다. 김 주임은 대부분 발달장애인 근로자이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어려워 잘 다독이면서 생산품을 만들고 있다두뇌자극이 필요해 성경쓰기, 산행 등도 함께 병행한다고 설명했다. 이어 인근에 밀알학교나 사무실에서 오셔서 쿠키세트 등을 주문하고 있는 편이라면서 이번 홍보장터를 계기로 더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.

 

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김영화 회장은 장애인생산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고 사회적 책임 차원보다는 장애인이니 도와준다라는 접근이 강하다. 일자리창출 개념이 아닌 법적인 부분으로 어쩔 수 없이 마지못해 구매하는 부분이 크다복지적 개념이 아닌 일자리 개념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.

 

이어 김 회장은 매년 9000여명의 특수학교 졸업생들이 직업이 없지만 이를 대처하는 부처가 없다. 비장애인의 실업 또한 심각하지만 장애인 실업 부분도 등한시 말았으면 좋겠다직업재활시설을 사회복지시설 테두리를 벗어나 일터 개념의 정책적 방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.

0 Comments
제목